• 2025. 3. 22.

    by. 파이프 머니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인해 진화 작업 중 안타깝게도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고는 산불 진화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경남 산청 산불
    경남 산청 산불

    산불 발생 및 진행 상황

    2025년 3월 21일 오후 3시 25분경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인해 산불은 빠르게 확산되었고, 산림청은 같은 날 오후 6시 40분 올해 첫 '산불 3단계'를 발령했습니다.

    산불 발생 24시간이 지난 3월 22일 오후 3시 기준, 진화율은 65%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는 오전 10시 30분의 진화율 70%에서 오히려 떨어진 수치입니다. 산불 영향 구역은 290ha로 확대되었고, 전체 화선은 18km에 달합니다.


    진화 작업 중 사망자 발생

    안타깝게도 이번 산불 진화 작업 중 진화대원 2명이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산림청은 '인명피해 현장에 출동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산불 진화 작업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안타까운 사고입니다.


    대규모 진화 작업 진행 중

    산림당국은 진화 헬기 43대와 진화 장비 120여 대, 인력 3천여 명을 투입해 진화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경남도는 오전 중 기상 여건이 비교적 유리한 시간을 활용해 주요 화선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2일 오전 산림청 등 유관기관과 함께 산청 양수발전소 내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에서 산불 대응 종합대책회의를 열고, 산불 진화 및 주민 보호 대책을 집중 논의했습니다.


    주민 대피 및 안전 조치

    산불로 인해 7개 마을 주민 210여 명이 한국선비문화연구원으로 긴급 대피했습니다. 건조한 날씨와 초속 10m 이상의 바람으로 인해 추가 대피령도 내려진 상태입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대피소 안전 관리와 무단 귀가 방지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대피 과정에서 1명의 주민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산불 원인 조사 중

    경남도에 따르면, 예초기 작업 도중 불티가 튀었다는 주민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경찰과 산림당국은 불을 모두 끈 이후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한다는 입장입니다.


    향후 대응 계획

    박완수 지사는 "오후에 바람이 강하게 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그 전에 큰 불길을 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각 기관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인력과 장비를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경남도는 오후에 예상되는 강풍 등 기상 변화에 대비해 인력과 장비를 유동적으로 운용하며 추가 확산 방지에 나설 계획입니다.

    결론

    경남 산청 산불 진화 작업 중 발생한 사망 사고는 산불 진화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안타까운 사건입니다. 관계 당국은 추가 인명 피해 방지와 신속한 산불 진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주민들의 안전을 위한 대피와 안전 조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기상 변화에 대비한 유동적인 대응과 함께, 정확한 화재 원인 파악을 통한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